Processing math: 100%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09

[MLOps] minikube memory 설정하기 minikube start 시 option으로 cpus, memory 인자를 줘도, 실제 구동 시에는 이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클러스터 구성 이전에 config 설정으로 이를 방지할 수 있음. # config cpus(코어 수) 설정 minikube config set cpus 40 # config memory 설정 minikube config set memory 150G # config 설정 확인 minikube config view ## 이후 클러스터 구성 minikube start -p ... # config 설정 정상 동작 확인 kubectl get node -o jsonpath='{.status.capacity}' 2022. 9. 20.
[docker] docker container에 opencv 설치하기 docker container에 opencv를 설치하였는데, import가 안되는 오류가 발생함. 알고보니, container에 설치를 위해서는 headless 패키지를 설치해주어야 함. # 설치 명령어 $ pip install opencv-python-headless 2022. 9. 19.
[MLOps] minikube, kubeflow 도커 이미지 삭제하는 방법 minikube를 사용하여 클러스터를 구축한 뒤, kubeflow pipeline을 구동하고 있는데, kubeflow component에서 사용하는 도커 이미지가 업데이트 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함. docker image rm 으로 이미지를 제거해도 계속 업데이트가 안되었는데, 확인해보니 minikube에서 자체적으로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었다. 이를 확인하고 없애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minikube image 확인 minikube image ls # minikube image 삭제 minikube image rm [IMAGE NAME] 2022. 9. 19.
[linux] 스크린(screen) 종료하기 스크린 삭제 명령어는 다음과 같음 (스크린명 또는 ID 번호를 사용해도 됨) screen -X -S [스크린명] kill 2022. 9. 5.
[linux] tar, gz, tar.gz 파일 압축 관련 명령어 tar.gz 압축 풀기 tar -xcvf [tar.gz FILE] tar.gz 압축하기 tar -zcvf [target directories] [tar.gz FILE] .gz 압축 풀기 gzip -d [.gz FILE] .gz 압축하기 gzip [FILENAME] 2022. 9. 4.
[jupyter notebook] 주피터 노트북 커널 추가(ipykernel) 콘다를 통해 가상환경을 생성하였지만, 주피터 노트북의 커널에서는 생성한 가상환경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이 해결할 수 있다. 1. ipykernel 패키지 설치 # ipykernel 설치 pipinstallipykernel2.2. python -m ipykernel install --user --name [virtual-env-name] --display-name "[display-name]" 위에서 virtual-env-name의 경우, 실제로 생성하였던 가상환경명을 말하며, display-name의 경우 주피터 노트북 상에서 보여질 커널명을 의미한다. 2022. 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