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97 tensorflow 에러모음 에러 상황 1 에러 메세지: StatefulPartitionedCall_17 해결 방법: tensorflow 2.12로 깔려있었는데 2.10으로 다시 깔았더니 해결됨 Detected at node 'StatefulPartitionedCall_17' defined at (most recent call last): ... return self._update_step_xla(grad, var, id(self._var_key(var))) Node: 'StatefulPartitionedCall_17' RET_CHECK failure (tensorflow/compiler/xla/service/gpu/gpu_compiler.cc:618) dnn != nullptr [[{{node StatefulPartitionedC.. 2023. 7. 12. TypeError: Object of type float32 is not JSON serializable 오류 메세지 Object of type float32 is not JSON serializable 해결 방법 dictionary의 value가 float32 포맷이었는데, 이를 float으로 강제 형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해결 value_float = float(value_float32) 2023. 7. 12. 파이썬 bson 파일 열기 Pinterest 데이터를 사용하여 추천 모델을 구현해보려고 하는데 파일 확장자가 bson이더라. 몽고 DB에서 쓰는 binary json 확장자라고 하는데 파이썬에서 pymongo 패키지를 깔아 읽을 수 있다. 패키지 인스톨 bson 패키지가 아닌 pymongo 를 깔아야 함 $ pip install pymongo 데이터 로드 import bson with open('subset_iccv_board_pins.bson'), 'rb') as f: data = [] for rows in bson.decode_file_iter(f): data.append(rows) 데이터 열어보기 바이너리인 것 외에는 json과 별 차이 없는 듯 {'_id': ObjectId('56c7caece4b0fd248a857cbc').. 2023. 7. 11. 파이썬에서 SSH 터널링과 mysql 커넥션 풀을 통해 DB 접속하기 Connection Pool (커넥션 풀) 이란? 커넥션 풀은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술로, 미리 생성된 연결 객체를 풀에 보관하여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할 때 재사용함. 연결 생성 및 해제의 오버헤드를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 커넥션 풀은 주로 웹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베이스 간의 연결 관리에 사용되며,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함. 풀에는 미리 설정된 개수의 연결 객체가 유지되며, 애플리케이션은 필요한 연결을 풀에서 가져와 작업을 수행한 후 반환하는데,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연결 관리의 성능과 확장성을 개선할 수 있다. 사용한 라이브러리 import pymysql from sshtunnel import SSHTunnelForwarder from dbutils.pooled.. 2023. 7. 10. 표준 출력, 표준 에러 파일에 쓰기 (리다이렉션) $ python main.py > main.log 2>&1 1은 표준 출력, 2는 표준 에러를 의미함 2023. 7. 10. 명령어로 데이터 다운로드 하기 # 명령어 $ wget [LINK] # 예시 $ wget https://files.grouplens.org/datasets/movielens/ml-100k.zip 2023. 7. 6. 이전 1 ··· 3 4 5 6 7 8 9 ··· 17 다음